본문 바로가기

I T.

데이터베이스 기획/설계 2 데이터베이스 기획과정 -데이터베이스 기획의 목적 -현재 및 장래의 일정기간 동안 기업의 정보욕구를 지원할 데이터베이스 환경에 대한 전략적이고 장기적인 계획을 개발하는 것이다. -기획과정은 성격상 계층적, 하향식이라 생각 할 수 있다. -상향식은 데이터베이스 계획이 상위수준 계획과 합치게 된다는 것을 보장하기 어렵다 데이터베이스 기획과정 최고 관리자 위임 획득 -위임이 왜 중요한가? -기획작업을 시작할 권한 획득 -계획작성시 필요한 자원과 협조를 확보 -관리자 결재는 기획작업은 주요한 일이며 그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것을 조직 구성원에게 알리는 것이 된다. -최종적으로 채택된 계획안은 실행될 것이라는 것을 보장. 최고 관리자의 확실한 결계가 없으면 기획작업은 연기 또는 무산되기 쉽다. 작업개시 및 범위.. 더보기
데이터베이스 기획/설계 1 데이터베이스 기획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1960년대부터 기업체에서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 중에는 성공한 조직과 성공치 못한 조직이 있다. 성공치 못한 조직을 살펴보면 적절한 계획이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통적인 시스템은 응용 프로그램에 의존을 해왔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자료자원 관리는 어떤 데이터베이스 요구사항이 기업의 오늘 및 미래의 정보욕구를 만족시킬 것인가? 라는 질문을 할 수 있다. 자료자원관리 차원의 장점은 조직의 자료가 덜 변경될 것이라는 것이다. 응용 프로그램 위주의 방식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기업에 맞추어 가려면 매우 힘들것이고 비효율일 것이다. 조직의 업무를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는 한 조직의 기본적인 자료구조는 10년이 지나도 상당히 안정적으로 남아 있게 될 것이다. 그래서 자료 자.. 더보기
[Oracle]토드(toad)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튜닝하기 5 DBA에게 유용한 Toad의 숨은 기능 찾기 5 데이터베이스 브라우저 기능이란? 지금까지 DBA 기능에 대해 각 기능별로 소개를 했다. 하지만 DBA가 이 모든 기능들을 일일이 하나씩 확인한다면 이것 또한 너무 불편할 것이다. 이를 위해 토드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해 필요한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구성해 하나의 화면에서 확인하고 설정할 수 있도록 통합관리 체제로 관리하고 있다. 이 기능이 바로 데이터베이스 브라우저(Database Browser)이다. 처럼 데이터베이스 브라우저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기준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베이스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중앙집중 방식을 선택하고 있다. DBA가 A DB, B DB 등을 분산해 관리한다면 업무 효율.. 더보기
[Oracle]토드(toad)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튜닝하기 4 DBA에게 유용한 Toad의 숨은 기능 찾기 4 DB상의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데이터베이스의 문제점을 감지(detect)하고 분석(diagnostic)했으면, 그에 따른 행동을 취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제시하는 해결방안은 시스템 튜닝, 데이터베이스 튜닝, 애플리케이션 튜닝, SQL Statement 튜닝으로 구분할 수 있는 데, 토드에서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이 존재한다. 테이블 스페이스와 테이블 스페이스 맵 이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이루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가 존재하는 물리적인 데이터파일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 안에 세그먼트, 익스턴트(Extent), 블럭이라는 구조가 존재하고 있다. 만약 테이블 스페이스의 공간이 부족하거나, 데이터파일에 F.. 더보기
[Oracle]토드(toad)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튜닝하기 3 DBA에게 유용한 Toad의 숨은 기능 찾기 3 DB의 문제점을 분석하라! 데이터베이스의 문제점을 파악했으면 과연 이 문제점의 원인은 무엇이며, 현재 데이터베이스 성능에서 병목현상(Bottleneck)이 발생하는 영역은 어디인지에 대해 자세하게 분석해야 한다. 분석 작업은 시작해야 하는 포인트가 중요하다. 예를 들어,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 현재 심각하게 성능이 다운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면 과연 이 문제가 메모리 쪽인지, I/O 쪽인지, I/O라면 데이터파일인지 리두 로그 파일인지를 파악해야 한다. 메모리라면 Shared Pool인지 데이터베이스 버퍼 캐시인지 리두 로그인지 판단해야 한다. DBA 입장에서 특정 문제점이 발생한 영역을 알 수 있다면 그 부분을 집중적으로 분석해 문제점을 해결해야 하는데.. 더보기